해드림출판사

인문학 산책 > 전체신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고객센터
상담시간 : 오전 09:00 ~ 오후: 05:30
(주말 및 공휴일 휴무)
02.2612-5552
FAX:02.2688.5568

b3fd9ab59d168c7d4b7f2025f8741ecc_1583542148_9783.jpg 


작성일 : 2020-12-23 16:24
  • 인문학 산책
  • 김동기
  • 해드림출판사
  • 2020년 12월 31일
  • 신국판
  • 979-11-5634-395-0
  • 18,000원

본문

인문학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중요한 길잡이,

스스로 질문하고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는 자기성찰의 학문

 

인문학이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으로 좁게는 문학··철학을 말한다. 즉 사람이란 무엇이며,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성찰로부터 시작하여 인문학이 출발한다. 더 나아가 과거에 어떻게 살아왔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사람다운 것인지, 어떻게 죽어야 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나뿐만 아니라 외연을 확대하여 너 그리고 우리는 어떠한 존재이고, 국가와 사회라는 더 큰 공동체와는 어떻게 양립할 수 있는가 하는 근원적인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는 학문이다.

 

문학은 허구와 개연성을 통해 사람이 살아가는 이야기를 시, 소설, 수필, 희곡 등의 형태로 사람의 존재에 대한 이해를 증진케 한다. 역사학은 사실에 입각하여 사람이 과거 어떻게 살아왔는가를 살펴서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미리 살펴보는 학문이다. 철학이란 가치와 당위성에 따라 사람이 무엇인가를 탐색하고 앞으로 지향해 나가야 할 바람직한 가치를 탐색하는 학문이다. 종교 즉 큰 가르침은 철학과 함께 삶을 더욱 깊게 한다.

 

인문학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중요한 길잡이가 될 수 있으며, 스스로 질문하고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는 자기성찰의 학문이다. , 나는 누구인가(Who am I)?라는 존재에 대한 답을 제시해주며,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How to live)?라는 방법을 강구하게 하며, 무엇을 추구하면서 살아야 하는가(What to do)?라는 바람직한 가치에 대한 생각을 갖도록 한다.

 

인문학은 방법론적 측면에서 통섭(通攝)과 소통의 학문이다. 문학, 역사학, 철학 자체뿐만 아니라 정치학, 사회학, 경영학, 법학 등 사회과학과 의학, 물리학, 화학, 환경학 등 자연과학과의 연계를 통해 내용을 다양화하고 풍부하게 한다.

여기에서 통섭(consilience)이란 함께 뛴다(jumping together)”는 의미로 서로 다른 전문가가 만나 서로 협동하여 집합적인 지혜를 살려서 공동으로 연구하고 작업하는 것을 말한다.

 

한국인은 예로부터 통섭과 소통에 뛰어난 자질을 보여왔는데, 이에 이어령 교수는 한국인이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한데 어울리 게 하는 비빔밥문화, 모든 것을 한입에 넣는 보쌈문화, 나가고 들 어오는 반대개념을 하나로 묶어 나들이라는 통합어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전 국민이 독창적인 개발자질과 능력을 갖추었다고 평가하였다.

 

인문학은 목적론적 관점에서 수기치인(修己治人) , 먼저 나를 닦고 난 후 남을 다스리는 학문이다. 우선적으로 먼저 나 자신을 닦아야 하는데(修己), 이를 위해서는 세상에 대하여 잘 알아야 하며 구체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인문학 도서 120권 엄선

작품 배경, 주요 내용,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스케치

 

 

[인문학 산책]은 행정고시 출신의 저자가 충북 보은군수, 대통령비서실 사정1비서관실, 충북 청주와 충주 부시장, 인천광역시 행정부시장, 인천도시개발공사 사장, 한전산업개발주식회사 상임감사, 동국대 행정대학원 초빙교수 등 중앙과 지방자치단체에서 행정업무를 수행하면서 그리고 기업의 현장에서 CEO와 상임감사로 그리고 대학에서 오랫동안 공부하고 강의를 하면서 인문학의 융성과 대중화를 위한 여러 가지 전략들을 구상하여 집필한 인문학 기본서이다.

 

저자는 전체적으로 인문학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각 분야별로 문학, 역사학, 철학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총론 형태의 해설을 덧붙이고, 그것을 다시 각론 형태로 한국문학과 해외문학, 한국사와 세계사 그리고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으로 다시 세분화하여 각각 우리에게 널리 알려지고 상을 수상한 작품 등 120권을 엄선하여 저자의 약력과 작품 배경, 주요 내용,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스케치하였다.

이와 같이 저자가 짜놓은 얼개에 독자들이 살을 붙이고, 지붕을 이어서 인문학이라는 멋진 그림을 그려보기를 기대한 것이다.

특정 분야에 보다 많은 관심이 있는 독자들은 완역된 작품을 읽을 수도 있고, 외국어에 자신이 있는 사람은 원서를 읽어 전문가의 수준으로까지 업그레이드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1970년 대학에 입학하여 교양학부에서 동양과 서양의 철학고전을 2권으로 축약한 것을 읽은 적이 있다. 이후 그간 소홀했던 분야를 섭렵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인문학 서적 1,000권 읽기 10개년 계획을 세워 추진해 온다. 지하철을 타거나 주말에 집이나 도서관에서 매년 100권씩, 매주 2~3권씩 읽기를 하는 것이다. 책을 읽은 후에는 저자와 시대적 배경, 책의 주요 내용,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2~5장 정도로 축약하여 정리하였다. 이것이 이 책을 쓰게 된 배경이다.

 

 

머리말 - 인문학 집 짓기 ___004

 

 

1장 인문학

 

1절 무엇이 인문학인가?

1. 인문학이란? ___020

2. 다른 학문과의 관계 ___030

 

2절 왜 인문학이 중요한가?

1. 행복의 증진 ___036

2. 국가와 사회발전의 촉진 ___044

3. 세계화와 문명발전 ___052

 

3절 어떻게 인문학을 공부하고 지원할 것인가?

1. 개인적 전략 ___057

2. 교육적 전략 ___064

 

 

2장 문학

 

1절 문학에의 초대

1. 문학이란? ___074

2. 문학의 장르 ___078

3. 한국 현대문학의 과제 ___089

 

2절 한국문학___097

 

3절 해외문학__141

 

 

3장 역사학

 

 

1절 역사학으로 초대

1. 역사학이란? ___184

2. 역사의 주인공과 대상 ___189

3. 역사와 우리 외교관계 ___193

4. 우리 역사학계의 과제 ___203

 

2절 한국사___208

 

3절 세계사__250

 

 

4장 철학

 

1절 철학에의 초대

1. 철학이란? ___304

2. 철학의 발자취 ___312

3. 철학의 문제 ___324

 

2절 동양철학__349

3절 서양철학__457

 

참고문헌 및 독서목록 ___552


학력

충북 청주 출신

청주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졸업(경영학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행정학석사)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졸업(도시계획 및 지역개발학 석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졸업(행정학 박사)

 

경력

행정고시 17회 합격(1975)

충북 보은군수(1991)

대통령비서실-사정1비서관실(1993)

내무부 재정경제과장(1995)

충북도 기획관리실장(1996)

충북 청주, 충주 부시장(1998)

행정자치부 지방재정경제국장(2003)

인천광역시 행정부시장(2004)

인천도시개발공사 사장(2008)

행정안전부 지방공기업정책위원회 위원(2011-2016)

한전산업개발주식회사 상임감사(2017-2020)

대한불교조계종신도회 부회장(2013-현재)

)동국대 행정대학원 초빙교수

 

저서

• 『한국공무원의 여가행태에 관한 연구(1983)

•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재정력평가에 관한 연구(1998)

• 『조사방법론(대왕사, 1975)

• 『한국지방재정학(법문사, 1993)

• 『한국지방자치의 새로운 모색(법문사, 2010)

• 『인생 3모작과 나(해드림출판사, 2015)

 


왜 인문학이 중요한가?

인문학은 사람에 관한 학문으로 문학, 역사학, 철학을 의미한다. 인문학은 개인, 회사나 도시 그리고 국가를 성장시키고 발전케 하는 자양분이며,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역기능이나 부작용을 치유할 수 있는 처방 약이 되기도 하고, 그에 맞는 격을 생성시키기도 한다. 사람에게 인격이 있듯이 회사와 도시에도 품격이 있고, 국가에도 국격이 있다. 이와 같은 은 외부에 잘 보이지는 않지만 자연스럽게 외부에 보이는 멋이다. 이것은 하루아침에 높아지지 않는다. 이를 올리는 데에는 각고의 노력이 필요하고 오랜 기간이 필요하지만 깎아 먹는 데에는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다.

 

1. 행복의 증진

. 개인적 행복(1차적)의 증진

인문학은 일차적으로 개인의 행복을 증진하기 위한 학문이다. 그러면 행복(happiness)이란 무엇인가? 행복이란 고통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우리 삶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기쁨은 주관적인 감정의 문제로 강도가 아닌 빈도로 일정 기간 개인이 느끼는 경험의 횟수를 말한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역사학자인 유발 하라리는 그의 저서 사피엔스에서 인간의 행복은 일반인이 알고 있는 월급, 사회관계, 정치 권력과 같은 외부변수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신경, 뉴런, 시냅스 그리고 세로토닌, 토파민, 옥시토신 등의 다양한 생화학 물질에 의해 결정된다고 했다.

또한, 삶은 내가, 지금, 이 순간이 행복해야 한다. 이와 같은 행복한 마음이 작고 사소하지만 꾸준한 노력을 통하여 쌓여감으로써 삶에 묻어나며 내재화될 수 있다. 소확행(小確幸:small but certain happiness) 12)이란 말이 있다. ‘작지만 확실한 행복으로 결혼, 출산, 취직과 같은 큰 기쁨보다 일상생활에서 커피를 마시고 산책하고 친구들과 담소하면서 느끼는 사소하면서도 작은 경험들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정과 직장 이외에 제3의 공간 즉, 카페, 커피숍, 미용실, 서점과 같은 다양한 물리적 공간과 사이버 공간의 확보가 필요하다. 반려동물이 늘어나면서 인간과 같이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공간이 만들어지고 있기도 하다.

한국의 1세대 철학자인 김형석 연세대 교수는 행복이란 자신에게는 성실로, 타인에게는 사랑으로 구성된다고 하였다. 성실이란 자기 일에 몰입(involvement) 즉 무아지경의 상태에서 전심전력으로 심신을 집중하여 연구하고 일을 하며 운동하는 것을 말한다. 몰입하게 되면 시간의 흐름까지 망각하게 되며 인간이 몰입 상태에 있을 때 가장 행복하다고 한다. 또한, 성실함이란 겸허한 마음을 갖고 자기성찰과 완성된 삶과 인격을 위해 자신을 높여가며 정성을 다하는 것이다. 세계적인 발명 대부분은 자기 일에 열중하여 추진할 때 이루어진다고 한다. 아인슈타인도 성공이 선천적인 요인보다 99%인 후천적인 노력에 기인한다고 하였다. 눈이 번쩍 뜨일만한 오늘날 정보통신 분야의 새로운 제품들 역시 연구원들이 밤낮없이 일과 연구에 몰두한 결과물이기도 하다.

행복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사랑을 나누며 생겨난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첫째, 연인과 자녀, 배우자, 둘째로 부모, 형제, 친구들과 있을 때 행복하다고 한다. 또한,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부모와 가족관계를 맺으면서 가족의 일원 이 되고, 성장하면서 사회의 구성원으로 교육받고 취직하며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면서 살아간다. 이에 따라 타인을 사랑하게 되면서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 사랑은 사회 구성원과의 공생의 원 동력으로 더불어 살고 싶다는 의욕이다. 이는 다시 남·여 간의 사랑, 친구 사이의 우정, 조직체와의 친화, 심지어는 모든 인간과 사회관계의 인도주의, 휴머니즘으로 확대되고 승화된다. 사랑의 극치는 자기희생에 있다고 본다. 세월호 사고가 발생했을 때 자기보다 먼저 제자들을 구출한 선생님들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행복지수는 매우 낮다. 세계 130개국 중에 서 116위를 차지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다. 행복은 소득과 반들 시 비례하는 것이 아니며 주관적이기에, 자살, 살인과 폭행 등 각종 범죄가 증가하여 사회적인 아노미(anomie) 상태, 즉 공통된 가 치나 도덕적 규범이 상실된 혼돈상태가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에드 만찬 교수는 대한민국의 불행 요소로 타인을 철저히 경쟁상대로만 생각하며, 물질주의로 돈이 다른 어떤 가치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

혜민 스님은 행복은 생각이 적을수록 함께 나눌수록 지금 바로 이 순간에 마음이 있을수록 더해진다고 하면서, 행복의 지름길은 나와 남을 비교하는 일을 멈추고 밖에서 찾으려 하지 말고 내 마음에서 찾으며 지금, 이 순간 세상의 아름다움을 찾아서 느끼라고 강조한다..

사람은 봉사를 통하여 사랑을 실천함으로써 행복감을 느낀다고 한다. 선진 외국일수록 봉사를 통한 사랑을 실천하는 사람의 수가 많다. 기부활동도 같은 차원의 활동이다. 미국에서는 특히 정보통신 분야의 고액기부자가 많은데 빌 게이츠가 20년간 36조 원, 페이스북 CEO인 마크 저커버그가 2017년에만 2조 원을 기부하였고, 시카고시장을 역임한 블룸버그는 2018년에 모교인 존스 홉킨스대학에 18억 달러를 장학금으로 기부하였다. 한국에서도 1억 원 이상 고액 기부자클럽인 아너소사이어티 15)201912월 현재 2,200명이 가입하였고, 누적 기부·약정 금액이 2,450억 원이라고 한다.

사람의 행복은 (그림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제적인 소득과 일정수준(Y1)까지는 비례관계를 유지하나 그 이상의 수준으로 증가하면 오히려 행복이 감소한다고 한다. 이것을 후생경제학에서는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라고 한다. 재벌총수들이나 고소득 자영업자같이 어느 정도까지 소득이 늘어나게 되면 한계효용 즉 행복이 떨어지게 되고 기부를 통해 사회 구성원들로부터 존경을 받고 싶어 한다. 유럽의 경우 역사적으로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16)의 전통이 있다.

-‘왜 인문학이 중요한가?’ 중에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