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드림출판사

다비식 > 전체신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고객센터
상담시간 : 오전 09:00 ~ 오후: 05:30
(주말 및 공휴일 휴무)
02.2612-5552
FAX:02.2688.5568

b3fd9ab59d168c7d4b7f2025f8741ecc_1583542148_9783.jpg 


작성일 : 2022-04-15 09:48
  • 다비식
  • 강승규
  • 해드림출판사
  • 2022년 03월 15일
  • 4*6배판
  • 979-11-5634-499-5
  • 30,000원

본문

대한민국 최초 다비장의 매뉴얼,

전통문화 보존을 위한

사찰 장례절차의 생생한 기록강승규 작가의 다비식

 

승려가 죽으면 영결식이 끝난 후에 시신을 불로 태우는데 이런 화장(火葬) 의식을 불가(佛家)에서는 다비식(茶毘式)이라 부른다. 이것은 인도에서 생긴 불교의 장례의식으로 화장하는 절차인데 인도에서 중국을 거쳐 한반도로 전파되어 1700여 년간 이어져 온 불가의 전통문화이다. 승려들의 죽음을 입적(入寂) 또는 열반(涅槃)이라 하는데, 본래의 자리로 돌아간다는 뜻을 지닌다.

 

죽음이란 수행과정에서 해탈로 가는 길목에 맞이하는 생(), (), (), ()의 과정으로 이승에 자신의 흔적을 남길 필요가 없어 태워 없앤다는 뜻도 지닌다. 불교(佛敎)에서 죽음이란 삶의 끝이 아니라 생애(生涯)에 다시 태어나기 위한 윤회(輪廻)이기 때문에 죽음마저 하나의 과정일 뿐이다.

 

다비식은 일반 장례의식이 아니라 다시 태어날 수 있는 윤회사상으로 한국에만 남아 있는 유일한 불교문화이다. 이런 문화가 계승될 수 있도록 옛날부터 기록이 유지되어 왔어야 하는데 어디에도 남은 게 없고 문화의 정확성을 따져볼 기준이 없어 안타깝다. 그런 이유로 자료 수집을 위해 다비식을 촬영하고 기록하며 전국의 사찰을 찾아다녔지만, 어느 사찰에서도 그에 관련된 자료를 간직한 곳이 없었다.

 

 

다비식 현장 20여년 촬영과 기록을 통해

다비 방법 정립

 

판매되고 있는 책도 대개 불교 의식집으로 의식절차만 거창하고 상세하게 수록되어 있으나 정작 화장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기록이 없어 유감이다. 불교가 한반도에 전파되고부터 저 오랜 세월 동안 다비식은 얼마나 치러졌을까 짐작마저 어렵다. 여기저기 다비식을 했다는 기록은 많은데 정작 다비 방법에 대한 기록은 없다. 시신을 화장하기에 앞서 하루 중 언제, 장소는 어디서, 어느 방향으로 놓고, 화재(火材)는 무엇으로, 어떤 방법으로 치렀는지 분명치가 않다.

 

석문상의초(釋門喪儀抄)』 『석문가례초(釋門家禮抄)』 『승가예의문(僧家禮儀文)』 『작법귀감(作法龜鑑)』 『다비문(茶毘文)에는 일부 수록되어 있으나 주로 의식절차뿐이다. 다비에 관련된 문헌을 찾아보고 현장을 촬영하면서 자연히 의식에 관한 공부도 되었는데 관련된 사찰을 찾아 문의했지만 시원한 대답은 듣지 못했다.

다비식 장면을 이십여 년 이상 촬영하면서 나름 화장절차에 대한 구심점을 찾고자 하나하나 기록하며 노력한 결과 어느 정도 화장 문화에 대해 정립을 하게 되었다. 사찰에서 그동안 다비에 대한 기록이 왜 없었는지 의문이 풀렸다.

 

시중에 발간된 책도 없고 각 사찰은 문중별로 구전으로만 전해지다 보니 다비를 집행한 스님 외에는 모르고, 극히 일부 사찰은 필사본을 보유하고 있어 눈이 번쩍 뜨인 적도 있긴 했다. 다비식이 많은 큰 사찰은 스님이나 거사들이 과정을 기억하고 있어 다행이지만, 몇십 년에 한 번 치르는 사찰은 기록도 없고 알고 있는 스님도 없어 허둥댄다. 필자는 다비장에서 장작 쌓는 방법 등 조언을 해 줄 때가 더러 있었는데 그럴 때마다 정립된 기록이 있었으면 좋겠다 싶었다.

 

강승규의 [다비식]은 다비 방법의 장점들 기록,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고

피눈물 나는 고된 작업이었지만 필자는 사명감을 가지고 해 온 작업

 

사찰 문중이 수십 개이고 문중마다 다비 방법이 달라 어느 하나를 지적하기도 곤란하지만, 화장 방법의 장점만을 가려 정립시켜야 할 과제다. 다비장 촬영 중에도 그렇고 식장을 배회하다 스님들께 핀잔도 많이 듣는데, 스님들이 해야 할 일을 왜 스님도 아닌 사람이 나서서 고생하냐는 말을 많이 들었다. 기록이 없어 답답하면 스님들이 기록할 것이고 알아서 책도 만들 것인데 당신이 왜 사서 고생을 하느냐는 식이다. 실제로 가끔 듣기로도 중도 아닌 사람이 다비장에서 시간을 허비하고 있느냐?”며 나무란다.

스님들이 하지 않으니 제가 하는 거지요.”

수차례 반문도 해보았지만, 책을 내야겠다고 생각한 스님이 계셨다면 1700년이 되도록 아무도 정립된 책을 발간하지 못했을까 하는 의문이다. 생산성도 떨어지고 팔리지도 않을 걸 알면서 출판비도 건지지 못할 책을 만들 이유가 없다는 말은 타당성이 있긴 하다. 그러나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고 피눈물 나는 고된 작업이지만 사명감을 가지고 기필코 해야만 한다.

 

필자는 불교에 관심이 많아 관련 책을 많이 읽고 불교 관련 사진가다. 작품을 촬영하러 다니다가 우연히 다비문화를 접하면서 사명감을 떨쳐내지 못하고 줄곧 다비장을 찾아다녔다. 이게 누가 어디 시켜서 될 일이던가. 필자는 문중을 따지지도 않고 외길로 다비식하는 곳만 찾아다녔다. 촬영 때는 짧게는 12, 길게는 45일간을 다비장에서 다비스님, 다비거사들과 지내면서 필자가 촬영했던 내용들이다.

 

이 책은 아직까지 발간된 적이 없는 스님의 입적 후 화장하는 다비장 절차서(매뉴얼)이기 때문에 다비장의 설치 과정을 순서대로 서술한 것뿐이다. 설치 중이거나 거화하는 당일 몇 차례 구경 또는 사진 촬영을 하고서 본인들이 알고 있는 상식으로 본 책과 사진에 대해 시비를 걸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이다.

역사에 남아있는 기록들은 누군가 사명감을 가지고 노력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전통문화란 후손들이 전통과 기록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야만 가치가 보존될 수 있다. 필자의 작업이 전통문화 보존에 보탬이 된다면 노력은 헛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머리말 4

참고문헌 311

 

 

1. 한국의 장례문화

한국의 장례문화 16

일반대중의 장례절차 20

풍습이 다른 장례 절차 24

사찰의 장례절차 28

 

 

2. 다비식(茶毘式)

다비식(茶毘式)이란? 32

다비(茶毘)관련 의식집 변천 과정 34

 

 

3. 다비(茶毘) 절차(節次)

영결식(永訣式) 절차 44

각 사찰의 영결식 장면 46

운구절차(運柩節次) 48

다비방법(茶毘方法) 50

다비방법의 종류 51

화장(火葬) 65

습골(拾骨) 73

사리(舍利)를 수습(收拾)하는 방식 74

사리(舍利)를 수습하지 않는 방식 : 수덕사 76

 

 

4. 종단(宗團)별 다비장(茶毘場) 현황(現況)

종단(宗團)별 다비장(茶毘場) 현황(現況) 89

종단별 다비장 현황 및 다비 방식 90

대한불교 조계종 다비장 현황 92

1교구사찰 서울 조계사 92

2교구사찰 경기 화성 용주사 92

3교구사찰 강원 속초 신흥사 92

4교구사찰 강원 평창 월정사 93

5교구사찰 충북 보은 법주사 94

6교구사찰 충남 공주 마곡사 96

7교구사찰 충남 예산 수덕사 96

8교구사찰 경북 김천 직지사 98

9교구사찰 대구 동구 동화사 101

10교구사찰 경북 영천 은해사 102

11교구사찰 경북 경주 불국사 103

12교구사찰 경남 합천 해인사 103

13교구사찰 경남 하동 쌍계사 105

14교구사찰 부산 금정구 범어사 107

15 교구사찰 경남 양산 통도사 109

16교구사찰 경북 의성 고운사 110

17교구사찰 전북 김제 금산사 110

18교구사찰 전남 장성 백양사 111

19교구사찰 전남 구례 화엄사 112

21교구사찰 전남 순천 송광사 114

22교구사찰 전남 해남 대흥사 116

23교구사찰 제주도 제주 관음사 117

24교구사찰 전북 고창 선운사 117

25교구사찰 경기 남양주 봉선사 118

한국불교 태고종의 다비장 현황 119

전남 순천 선암사(한국불교 태고종 종찰) 119

기타 종파 다비장 현황 121

대한불교 관음종 다비장 현황 121

대한불교 선각종 다비장 현황 121

대한불교 원효종 다비장 현황 121

대한불교 불승종 다비장 현황 122

일붕선교종 다비장 현황 122

대한불교 보문종 다비장 현황 122

한국불교 법륜종 다비장 현황 123

대한불교 천태종 다비장 현황 123

기타 종파의 다비장 현황 123

다비식 소요경비 124

다비식과 앞으로의 방향 126

 

 

5. 종단(宗團)별 다비식(茶毘式)

종단(宗團)별 다비식(茶毘式) 134

대한불교 조계종의 다비식 방법 137

강원 평창 월정사 다비식: 4교구사찰 137

경기 남양주 봉선사 다비식 : 25교구사찰 141

경남 양산 통도사 다비식 : 15교구사찰 147

경남 합천 해인사 다비식 : 12교구사찰 149

경북 김천 직지사 다비식 : 8교구사찰 165

부산 금정 범어사 다비식 : 14교구사찰 168

전남 구례 화엄사 다비식 : 19교구사찰 172

전남 순천 송광사 다비식 : 21교구사찰 179

전남 장성 백양사 다비식 : 18교구사찰 183

전남 해남 대흥사 다비식 : 22교구사찰 188

전북 고창 선운사 다비식 : 24교구사찰 191

충남 예산 수덕사 다비식 : 7교구사찰 196

충북 보은 법주사 다비식 : 5교구사찰 202

경남 고성 문수암 다비식 203

한국불교 태고종 207

전남 순천 선암사 다비식 207

강원 원주 보림사 다비식 211

기타 종파 다비식 215

관음종 다비식 현황 215

법륜종 다비식 현황 215

보문종 다비식 현황 215

불승종 다비식 현황 215

삼론종 다비장 현황 216

선각종 다비식 현황 216

원효종 다비식 현황 216

일붕선교종 다비식 현황 216

천태종 다비식 현황 217

기타 종파 217

변형된 다비 방법 1 : 해인사 성안스님 218

변형된 다비 방법 2 : 송광사 보성스님 224

변형된 다비 방법 3 : 신흥사 무산스님 229

 

 

6. 각 사찰별 다비식

각 사찰별 다비식 촬영(가나다 순) 238

강원 강릉 성원사 주경스님 다비식 239

강원 속초 신흥사 무산스님 다비식 241

경기 남양주 봉선사 지학스님 영결식 244

경기 수원 봉녕사 묘엄스님 다비식 245

경기 용인 법륜사 상륜스님 다비식 249

경남 하동 칠불사 통광스님 다비식 251

경남 합천 해인사 도견스님 다비식 253

경남 합천 해인사 법전스님 다비식 255

경남 합천 해인사 성안스님 다비식 258

경북 구미 문수사 혜향스님 다비식 261

경북 군위 지보사 문수스님 다비식 263

경북 김천 직지사 서운스님 다비식 265

경북 봉화 현불사 설송스님 다비식 267

경북 상주 갑장사 세웅스님 다비식 269

경북 예천 법흥사 정안스님 영결식 271

광주 동구 다보선원 일륜스님 영결식 273

광주 북구 신광사 혜운스님 다비식 274

광주 서구 향림사 천운스님 다비식 277

대전 중구 만불선원 진철스님 영결식 279

서울 강북구 화계사 숭산스님 다비식 280

서울 동작구 사자암 도각스님 다비식 284

서울 서대문구 봉원사 만봉스님 다비식 286

전남 강진 자비정사 정업스님 다비식 287

전남 구례 화엄사 종후스님 다비식 290

전남 무안 약사사 경훈스님 영결식 291

전남 순천송광사 보성스님 다비식 292

전남 화순 불지사 범능스님 다비식 295

전북 군산 동국사 재훈스님 다비식 299

충남 금산 태고사 도천스님 다비식 302

충남 예산 견성암 현찬스님 다비식 304

충남 예산 수덕사 원담스님 다비식 308

 

 

한국사진작가협회 회원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장역임

저서 산사음악회 개인전사진집(비매품)

강원 평창 월정사 다비식: 4교구사찰

 

월정사 다비장은 다비를 했던 때가 30년 전이고 그 뒤에 다비를 한 적이 없어 다비장이라고 볼 수도 없지만, 당시나 지금이나 밭이어서 현지 주민들은 이곳을 다비장이라 부르고 있다. 넓은 밭을 다비장으로 사용해 주위는 모두 숲으로 둘러싸였고 바람을 막아주어 위치로는 나무랄 데 없어 보였다. 지금도 채소를 심기 위해 밭을 갈아 밭이랑이 가지런히 정리가 잘 되어 있다.

월정사는 통나무와 장작을 사용했는데 30여 년 전에도 다른 사찰에 비해 나무를 많이 사용한다고 당시 다비에 참여했던 거사분이 얘기해주었다. 두 가지 방법이 있으나 한 방법은 불이 잘 타지 않아 사용하지 않았다고 했는데 나중에 이 방법으로도 다비를 했다고 한다.

 

사용하는 재료의 목록

통나무 : 직경 30cm 정도 길이 1m 통나무 10~12

장작 : 길이 50cm 정도 통나무를 쪼갠 장작 및 직경 10~15cm 길이 1.6m 정도

통나무 두 트럭분

가마니 : 가마니 10여 장, 기타 짚단 및 새끼줄

기타 : 등유 80L (20L 기준 4), 벽돌 200여 장

 

첫째. 화로용 구덩이를 폭 40cm, 깊이 30cm, 길이 5m로 판 후에 화로 양옆에 통나무를 길게 눕혀 기본 지지대를 만들어 준다. 옛날 방식인데 요즈음은 화로 부분을 폭 60cm로 파고 좌우에 벽돌로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쌓고 화로 위에 수덕사 방식처럼 통나무 10개를 기본 지지대로 펼쳐준다.

다음에 통나무 앞과 뒤쪽 끝부분에 같은 크기의 통나무를 얹어주어 앞뒤 지지대를 만들고 밀려나가지 않도록 아래쪽에 장작으로 쐐기같이 고여 준 후 통나무 앞부분에서부터 장작을 뒤쪽으로 길게 펼쳐서 지지대 통나무 높이만큼 쌓아준다.

통나무 위에 쪼갠 장작을 가로, 세로로 교차하여 장작을 쌓는데 바닥에서 높이가 80cm 정도 쌓고 중지한다. 다음에 50cm 길이의 장작을 통나무 주위에 가로세로 교차하여 단을 쌓듯이 중앙과 같은 높이로 쌓는데 좌우 폭은 각각 50cm, 관 지지대용 통나무는 60cm이기 때문에 전체 크기는 앞뒤 4m이고, 폭이 약 1.6m, 높이는 80cm 정도의 직사각형 연화대가 만들어진다.

둘째. 기본 지지대를 쌓고 나서 영결식이 끝나기를 기다린 후에 법구를 다비장으로 운구하여 연화대 위에 관을 안치한다. 관을 놓은 다음 아래쪽 장작 쌓는 방법과 같이 위에도 장작을 쌓고 옆에도 교차하여 계속 쌓아준다. 관의 높이가 50cm인데 먼저 쌓은 80cm50cm를 더하면 130cm가 되고 위에 30cm 장작만 쌓아주면 전체 높이는 160cm가 된다. 직경이 작은 통나무를 세워 쌓는데 두 겹으로 전체를 빙둘러 세워서 쌓는다. 수덕사와 동일한 방식이다.

전체 높이는 1.6m로 세워 쌓는 장작도 그에 맞게 잘라 주위에 세워준다. 통나무를 모두 쌓으면 그 위에 짚단을 차곡차곡 얹어 주어 골고루 평평하게 하고 가마니로 전체를 덮는다. 가마니는 서로 겹치게 덮어 아래로 처지지 않게 눌러주고 새끼줄로 전체를 돌아가면서 묶어주면 다비장 설치는 끝이 난다. 월정사도 수덕사나 송광사처럼 118)목곽을 사용하지 않고 바로 장작을 쌓는다.

 

이후 월정사는 남대 지장암 주지인 비구니 정안스님(2014. 6. 14.)과 말사인 경주 보림선원 선원장인 보원스님(2015. 1. 29.)의 다비식을 했는데 연화대 방식은 위의 장작과 통나무방식이 아니고 장작과 짚더미를 사용했다. 화로부분의 설치방법은 동일하나 장작 크기가 앞에서는 50cm 크기인데 40cm를 사용해서 폭을 좁게 쌓아 사용량도 줄이고 높이도 낮아져 모양이 조금 다르다.

내부 장작은 작게 사용하고 외부는 통나무를 빙 둘러 쌓는 대신에 농가에서 가을철 수확하는 볏짚을 사용하여 주위에 쌓는다. 방법은 동일하며 영결식이 끝나기를 기다렸다가 법구가 연화대에 도착하면 안치하고 좌우는 물론 위에도 장작을 쌓는다. 장작을 쌓고 나서 사각형 볏짚 단을 장작 주위에 밀착해서 쌓아준다. 쌓는 방법은 선운사 방식인데 사각형 짚더미를 벽돌 쌓는 방법으로 차곡차곡 돌아가면서 밀착해 쌓아주고 맨 위에도 짚더미를 얹어준다. 마지막에 짚더미가 무너지지 않도록 빙 둘러서 통나무로 짚더미를 부분적으로 눌러주어 마무리한다.

거화를 한 후에는 짚더미 위에 계속 물을 뿌려 짚이 잘 타지 않도록 하여 불이 내부에서만 타도록 하다가 불이 충분히 붙으면 물 뿌리는 것을 중단하여 전체가 타도록 한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